2026년 지방선거일 일정 선출대상 자격기준 총정리

2026년 지방선거일 일정 선출대상 자격기준 총정리

 

2026년 지방선거일은 우리 지역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선거일, 선출 직책, 투표권 자격, 이전 선거와의 차이, 참여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2026년 지방선거일은 언제인가요?

 

 

2026년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은 6월 3일 수요일입니다.

  • 선출 직책: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 지방의회 의원, 교육감
  • 투표 시간: 오전 6시 ~ 오후 6시
  • 사전투표 제도 운영: 본투표일 참여 어려운 경우 활용 가능
  • 후보 등록, 선거운동 일정은 선거일을 기준으로 진행

TIP: 선거일은 평일이므로 개인 일정 조정이 필요합니다.

2 지방선거일에 어떤 사람들을 뽑나요?

지방선거는 시민의 생활과 밀접한 직책을 한꺼번에 선출합니다.

  • 시도지사: 광역자치단체 운영 총괄
  • 시장·군수·구청장: 기초자치단체 책임자
  • 지방의회 의원: 지역 의정 활동 및 조례 제정
  • 교육감: 지역 교육정책 수립·집행
2026년 지방선거일부터는 교육의원 선거 폐지로 투표 절차가 간소화됩니다.

3 투표권 자격과 준비물

  • 투표권: 2026년 6월 3일 기준 만 18세 이상 국민
  • 대상: 2008년 6월 4일 이전 출생자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적 신분증
  • 투표용지: 직책별로 구분되어 발급
  • 투표소 위치: 사전 안내문 또는 선관위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TIP: 거동 불편자는 부재자투표, 사전투표 제도를 활용하세요.

4 이전 지방선거와 달라진 점

  • 지난 선거일: 제8회 지방선거 (2022년 6월 1일)
  • 주요 차이점:
    • 교육의원 선거 폐지 → 투표 절차 간소화
    • 사전투표, 모바일 안내 시스템 강화
    • 디지털 서비스 발전으로 참여 편의성 증가

이러한 변화는 유권자 혼란을 줄이고 투표율 제고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5 선거일 준비와 참여 방법

  • 직장·학교 일정 조율 후 투표 시간 확보
  • 투표소 위치 및 후보자 공약 사전 확인
  • 출근 전 또는 퇴근 후 시간대 이용해 혼잡 피하기
  • 사전투표 적극 활용 (본투표 어려운 경우)
  • 가족·친구와 함께 투표 독려하기

6 시민으로서 꼭 기억해야 할 점

지방선거일은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지역사회 미래를 직접 결정하는 권리 행사입니다.

  • 후보자의 공약과 자질을 꼼꼼히 비교
  • 투표소 방문 시 신분증 지참
  • 혼잡 시간대를 피해 원활한 투표 참여
  • 주변에 투표 참여 독려하기
2026년 6월 3일, 우리 지역의 밝은 미래를 위해 반드시 투표에 참여합시다.
※ 본 글은 2026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자세한 선거 정보와 투표 안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